search for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cused on Acupotomy Therapy for Acute Cervical Radiculopathy Presenting with Shoulder Pain
어깨 통증 양상으로 나타난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 환자의 침도치료를 중심으로 한 한의치료 1례
Korean J Acupunct 2024;41:51-57
Published online June 27, 2024;  https://doi.org/10.14406/acu.2024.005
© 2024 Society for Meridian and Acupoint.

Taehyeong Kim1* , Dasol Park2* , Jungtae Leem2 ,3,4, Gawon Choe5
김태형1*ㆍ박다솔2*ㆍ임정태2,3,4ㆍ최가원5

1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2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3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4Korean Medicine Clinic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5Sandol Korean Medicine Clinic
1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2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3원광대학교 한국전통의학연구소, 4원광대학교 한방병원 한의학임상연구소, 5산돌한의원
Correspondence to: Jungtae Leem
Department of Diagnost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o, Iksan 54538, Korea
Tel: +82-63-850-5114, Fax: +82-63-850-6666, E-mail: julcho@naver.com
Gawon Choe
Sandol Korean Medicine Clinic, 106 Doum 1-ro, Sejong 30064, Korea
Tel: +82-44-865-7585, Fax: +82-44-865-7586, E-mail: medicaldesign@naver.com
*These authors have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No NRF-2022R1C1C2008738). This research was also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Technology Project through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grant no. HF23C0010).
Received March 8, 2024; Revised April 24, 2024; Accepted April 25,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case report aims to illustrate the diagnostic challenge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cute cervical radiculopathy presenting as shoulder pain, differentially diagnosed through physical examinations, and subsequently treated with acupotomy. A male patient in his late 20s with no significant medical history or comorbidities reported acute left shoulder pain upon awakening, rated at a severity of 7 on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Initial physical evaluations of the shoulder assembly revealed no abnormalities, but a positive Spurling test, relief with cervical distraction, and diminished sensation across the left C5∼C8 dermatomes pointed towards a cervical spine origin. Immediate acupotomy at identified tender points significantly reduced pain, with additional therapies enhancing recovery. Pain was eliminated after the second treatment, and this resolution was sustained at the 4-week follow-up, confirming the treatment’s effectiveness and verifying the absence of adverse effects. This case presents the critical need for precise diagnosis in cases of neck and shoulder pain. Additionally, the employment of acupotomy provided a swift and effective resolution of symptoms in acute cervical radiculopathy, showing its value in clinical practice.
Keywords: shoulder pain, cervical radiculopathy, acupotomy
서 론

신경뿌리 병증이란 신경뿌리의 압박에 의해 그 지배 부위의 동통, 감각이상 등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1). 그 중 목신경뿌리 병증은 목과 상지의 통증과 저림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퇴행성 척추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2). 경추와 연관된 퇴행성 척추질환에는 경추간판장애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경추간판장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3). 가벼운 증상의 경추간판장애는 약물치료, 보조기, 심부 초음파 등의 물리치료를 하며, 심한 경우는 신경성형술 및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4). 그러나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기간이 길수록 수술의 효과는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으며5), 수술 후 신경학적 악화, 동통의 악화, 혈관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대안적 치료의 필요성이 있다6).

목신경뿌리 병증에 있어서의 치료효과와 관련된 또 하나의 임상적인 고려사항은 목신경뿌리 통증이 목의 증상으로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어깨의 통증으로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7). 오진으로 인해 어깨 통증 양상으로 나타나는 목신경뿌리 병증의 진단이 늦어지고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임상에서 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진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8). 특히 경추질환에 의해 어깨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므로,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통해 치료의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일을 방지해야 한다9).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의 한의치료는 침치료, 뜸치료, 침도치료 등이 보고되어 있다. 경추부 신경뿌리병증과 연관된 경항통에 대해 성인의 경우 침치료가 비활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통증 개선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추나치료의 경우 성인 경항통에서 통상적 치료에 비해 유의한 통증 감소, 기능 개선 및 삶의 질 개선이 확인되어 각각 시행이 권고되고 있다. 또한 약침 치료의 경우 성인의 경항통에서 통상적 치료에 비해 유의한 통증 감소, 기능 회복 및 삶의 질 개선이 확인되었다10). 기타 침도치료에는 초음파유도하 도침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11), 침도치료와 마시지를 결합한 치료에 관한 연구12) 등이 수행된 바 있다. 외과적 수술과 유사한 방식인 침도요법은 끝이 메스같이 날카로운 형태의 침을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유착박리 및 절개를 통해 통증을 치료하는 한의학의 치료방법이다13). 현재 임상에서 한의 침도 치료는 주로 만성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시술로 자주 쓰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만성통증, 비특이적 만성 요통, 만성 슬관절통 등에 대한 침도치료의 효과에 대해 연구된 바 있다14-16). 그러나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으로 인한 어깨 통증 환자를 침도를 활용하여 단기간에 호전시킨 예는 보고된 바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팀은 어깨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를 이학적 검진을 통해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으로 진단하고 해당 소견에 따라 침도 치료를 1회 시행하여 시행 직후 환자의 통증을 상당히 호전시키고 침구치료 및 부항치료로 그 상태를 유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급성기 경추 질환 환자를 침도 시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병증의 만성화를 방지하였기에,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에 대한 침도 치료의 효과적인 활용 가능성을 본 보고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지표로 numeric rating scale (NRS)을 활용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에도 환자의 경과 관찰을 통해 부작용을 관찰하고 환자의 관점에 대해서 보고하여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에 있어서 한의약적 치료법의 가능성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케이스 보고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었다.

본 연구는 환자 의무기록을 기반으로 한 후향적 증례보고로서 Wonkwang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았으며 동의서 취득 면제에 대해서 승인을 받았다(WKIRB-202403-BM-008).

연구대상 및 방법

1. 병력

20대 후반 평범한 체격의 남자로 2023년 8월 초순 아침 기상 후 갑작스러운 좌측 어깨 통증이 발생하였고, 이에 발병 하루 뒤 본 병원에 내원하였다. 문진결과 기존에 어깨통증으로 병원에 내원하거나, 진단을 받았던 과거력은 존재하지 않았다. 환자는 어깨 통증이 좌측 어깨 관절 주변으로 아프다고 모호하게 진술하였고, 어깨 통증에 대한 NRS는 7이었다.

2. 진단적 접근 및 한계

환자의 임상증상, 병력 및 이학적 검사 결과 등을 고려해 볼 때 회전근개병변, 충돌증후군, 견봉쇄골관절 병변, 류머티스성 관절염, 동결견, 점액낭염, 흉곽출구증후군 및 기타 어깨 관련 병변의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비록 영상검사를 통한 확진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Spurling test 양성, cervical distraction 시 증상이 감소된 점, 피부분절 감각검사를 통해 좌측 C5∼C8 부위 피부분절에 환자가 처음에 인지하지 못했던 감각저하 소견 등을 종합해 볼 때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through clinical symptoms and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Clinical symptoms and physical examination Associated disorder Probability
Normal range of motion and tendon integrity in the shoulder joint; no difficulty with arm elevation Rotator cuff lesions Low
No pain during arm elevation; normal findings in Horizontal Adduction and Hawkins-Kennedy tests Impingement syndrome Low
No tenderness in Acromioclavicular joint; no excessive stress-inducing activities on the acromioclavicular joint Acromioclavicular joint lesions Low
No signs of polyarthralgia, fatigue, morning stiffness, fever, or weight loss Rheumatoid arthritis Low
No increase in nocturnal shoulder pain; no decrease in external rotation or restriction of movement Frozen shoulder Low
No friction sounds during shoulder abduction; no swelling, heat, or muscle atrophy Bursitis Low
No sensation of burning, numbness, or paresthesia in the ulnar nerve distribution; no edema or discoloration of the limb Thoracic outlet syndrome Low
No cardiac or pulmonary history; absence of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no history of trauma Other shoulder-related pathologies Low
Positive Spurling test; symptom decrease with cervical distraction; decreased sensation in the dermatome of the left C5∼C8 regions Cervical spondylosis High


3. 치료

치료는 내원 당일과 이틀 뒤 총 두 번 진행되었으며, 치료 4주 후 전화로 추적관찰을 통해 환자 상태를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이학적 검진을 통해 신경뿌리병증이 의심이 될 경우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침도 치료를 가장 먼저 시행하여 효율적으로 병증이 해소됨을 누차 경험한 바 있다. 이학적 검사를 통해 찾은 감별진단이 옳다면 침도 치료는 시술 즉시 병변의 압박 부하를 큰 폭으로 낮춤으로써 즉각적으로 주소증을 해소하며 이러한 반응은 진단의 확립인 동시에 치료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에 대해 일차적으로 침도 치료를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첫 번째 치료 시 C5∼C8 level 좌측 협척혈 부근의 압통점을 찾아 2 부위의 침도 치료를 시행하였다(Fig. 1). 침도 치료는 (주)동방메디컬에서 제작한 0.5 mm 두께 50 mm 길이의 침도를 사용하였으며, 시술 부위를 일회용 소독용 알콜솜을 이용하여 닦아낸 뒤, 극돌기 옆 0.5 cm 위치에서 직자로 자입하여 2∼4 cm 깊이 사이에서 종행소통박리법을 20회씩 시행 후 발침하였다. 침도 치료 직후 NRS 2로 통증의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환자는 “어깨가 시원해지는 느낌이에요. 목에 치료받은 부위가 조금 얼얼하긴 하지만 어깨는 확실히 편해졌어요.”라고 표현하였다. 이후 침 치료 및 뜸, 부항치료를 하였다. 침 치료는 (주)케이엠솔루션에서 생산된 0.3 mm×40 mm 규격의 KM 침을 사용하였으며, 양측 곤륜(BL60), 음곡(KI10), 풍지(GB20), 뇌공(GB19) 자침 후 C5∼C8 좌측 협척혈을 따라 레벨별로 한 개씩 총 4개를 자입하였고, 협척혈에는 침전기자극을 시행하였다. 침전기자극은 (주)아이티시에서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침전기자극기 Partner-1 모델을 사용하여 2 Hz 주파수의 침전기자극을 시행하였으며 전체 침치료 시간은 15분간 유침하였다. 전자뜸 치료는 케이메디칼에서 제조한 새뜸 중 온도 조절이 가능한 ‘새뜸2’를 이용하여 43도 설정 온도로 침도 시술 부위에 각각 1개씩 총 2개를 10분간 부착하여 시행하였다. 부항치료는 알콜솜에 점화하여 유리부항 내부를 가열 후 부착하는 불부항 기법을 활용하여 경항견배부의 독맥 라인을 따라 대추혈부터 요양관혈위까지 부착하고, 기 부착된 부위의 좌우 기립근 부위에도 견갑골 부위부터 장골능까지 부착 후 5분 뒤 발관하여 시행하였다.

Fig. 1. Acupotomy treatment point.

두 번째 치료 시에는 좌측 어깨 통증 정도가 NRS 1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Spurling test는 음성이었고, 좌측 C5∼C8 피부분절의 감각저하는 여전하였다. 주소증이었던 좌측 어깨 통증의 NRS가 1로 급감하였기에 추가적인 침도 치료는 진행하지 않았고 초진과 동일한 침, 뜸, 부항 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치료 기간동안 별다른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치료 4주 후 전화로 환자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주소증이었던 좌측 어깨 통증은 2회차 치료 이후 소실되었고, 추적관찰 당시까지 유지되었다(Fig. 2). 감각저하가 있었던 좌측 C5∼C8 부위의 피부분절의 위치를 전화로 안내한 후, 환자에게 직접 좌우를 비교해보라고 요청하였을 때 피부분절의 감각은 아직 저하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Changes in NRS scor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sessions.
고 찰

1.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의 질환 개요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은 경추의 신경근 및 척추신경의 압박과 염증으로 인해 목과 상지의 통증, 저림, 감각 및 근력 저하 등의 신경학적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은 병소가 되는 신경근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 증상의 발생 위치 및 양상이 다양할 수 있다. 특히 경증의 초기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이 방사통으로만 나타나는 경우 통증의 기원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환자의 통증 및 장애의 빠른 개선 및 장기적인 척추 퇴행의 예방과도 연관되어 있으므로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과 감별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7).

2. 본 연구의 증례 소개 및 치료 내용과 결과 요약

본 증례는 기존에 앓았거나 검진받았던 질병이 없는 건장한 20대 남성 환자에게 아침 기상 직후 급성으로 발생한 좌측 어깨 통증에 대해 이학적 검진, 병력청취 및 임상소견을 종합하여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으로 진단하고 침도치료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한 증례이다. 처음 환자가 내원했을 때 주소증인 좌측 어깨 통증의 NRS는 7이었으며, 첫 침도 치료 직후 좌측 어깨 통증의 NRS는 2로 급감하였다. 이후 침구 치료 및 부항치료를 시행하였으며, 2회차 치료 전 좌측 어깨 통증의 NRS는 1이었고, 첫 내원 시 양성이었던 Spurling test는 음성이었으며 C5∼C8의 피부분절의 감각저하는 여전하였다. 좌측 어깨 통증의 NRS가 많이 개선되어 2회차 치료에는 침도치료를 시행하지 않았으며, 1회차 치료와 동일한 침구치료 및 부항치료를 시행하고 치료를 종료하였다. 치료 종료 후 추적관찰을 통해 좌측 어깨 통증의 NRS가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C5∼C8 피부분절의 감각저하는 여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침도치료의 효과에 관한 기전 및 연구 동향

침도치료의 효과기전은 동물실험을 통해 제안되기도 했는데, Guo 등의 연구에서는 무릎골관절염을 유발시킨 토끼에게 침도치료를 시행한 결과 관절 내 고압을 감소시키고, 병 부위의 산소 및 염증 및 혈관 형성을 개선시켰으며 저산소증 유도인자 1α (hypoxia-inducible factor-1α),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인터루킨 1β (interleukin-1β) 및 종양괴사인자 -α (tumor necrosis factor α)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이 억제되었다17). 또한 Ding 등의 연구에서는 무릎골관절염을 유발시킨 토끼에게 침도 치료와 히알루론산 주사의 치료효과를 비교한 결과 침도치료가 히알루론산 주사치료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혈관 정체 및 골 내 압력을 감소시켰으며,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 수준을 낮추었다18). 이와 같이 침도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생물학적 기전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한의 임상상 만성 통증 치료에 빈용되고 있다. 또한 임상연구를 통한 만성적인 추간판 장애와 관련된 통증이나 만성 견관절 질환에 의한 어깨 통증에 대한 침도의 효과 보고 역시 다수 존재한다19-21). 또한 급성 질환과 관련하여 acute myelitis에 대해 침도치료로 호전된 증례 보고, 급성 요통에 대한 침도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22,23). 그러나 어깨의 방사통으로 나타난 급성 경추간판 장애에 대해 침도 치료를 통해 호전된 예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4. 본 증례의 결과와 관련된 가설 및 견해

인체는 늘 중력에 대해 저항하며 자세를 유지한다. 잘못된 자세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어 반복 손상이 누적되면 과부하가 걸린 연부조직은 점차 탄성을 잃게 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유착이 발생한다. 특히 경추부에서는 만곡 이상 등으로 인해 경추부의 추간판에 대한 압력 증가, 연부조직을 포함한 신경근 주변 공간의 압력 증가 등 다면적 요인에 의한 신경근 압박이 발생 및 만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침도 치료는 초기 병변의 경결점이나 만성 병변의 연부조직 유착을 최소한의 침습을 통해 박리하여 시술 즉시 병변 부위의 압력을 줄여줄 수 있는 치료이다. 침도는 끝이 날카로운 메스와 같은 침으로, 한의학의 침에 외과도구인 메스의 기술을 결합한 침술이다13). 현재 제안된 침도 치료의 한의학적 기전은 연부조직 및 유착을 박리하고 절개하여 해당 연부조직의 상태를 원래의 동적상태로 회복시키고 기혈을 통하게 하는 것이다24). 이전의 연구에서는 침도치료의 효과 기전으로 연부조직의 유착을 절개 및 박리13), 병소 부위의 피부 온도 상승, 혈액순환을 촉진, 시술 부위 미세 전류 발생, 세포 분화촉진 유도라고 제안했다25).

본 증례에서는 침도치료를 통해 어깨 부위로 나타난 급성 경추추간판장애에 의한 방사통을 1회의 침도 시술 직후 빠르게 개선시켰으며 1개월 후 추적관찰을 통해 통증개선 효과가 효과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여 침도의 급성 경추추간판 장애에 의한 통증의 효율적인 치료효과 및 만성화의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5. 연구의 강점과 한계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본 기관이 일차의료기관이므로 영상진단에 의한 배제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증상과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진 정보를 종합하여 임상적 추론을 통한 배제진단을 하고자 하였다.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의 진단에 있어 진단을 위해 보편적으로 인정된 기준은 아직 없으며 임상 진단은 환자의 병력청취와 이학적 검진에 기초하여 이뤄질 수 있고 이후 영상검사에 의해서 확진되거나 수술적 결과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대부분의 일차 한의의료기관에서는 엑스레이를 구비하는 경우가 드물고 근골격계 질환은 이학적 검진과 병력청취로 상당수 감별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한의계의 증례보고는 한방병원에서의 증례 보고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지만 의료기관 수나 환자의 비율로 볼 때 일차의료기관인 한의원에서 이와 같은 진단적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증례에 대해 보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증례는 그에 대한 예시로서의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증례에서 환자가 호소한 감각저하 증상은 치료 종료 및 추적관찰시에도 여전하였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장기간의 지속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셋째, 해당 증례의 환자의 주소증인 좌측 어깨 통증의 정도에 대한 평가지표가 NRS 외에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Neck Disability Index 등의 다른 평가지표와 삶의 질 등을 평가하는 지표들이 사용되지 않은 것이 한계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질환 특이적인 평가지표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강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깨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어깨를 치료한 것이 아닌, 배제진단을 통해 경추기원성 질환으로 진단하고 경추를 치료하여 어깨통증을 개선시킨 증례이다. 경추부 신경뿌리 병증에 있어서 임상적인 고려사항 중 하나가 바로 어깨의 통증으로 증상이 발현된다는 점이다. 오진으로 인하여 어깨 통증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추부 신경뿌리 병증의 진단이 늦어지고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어깨통증으로 나타나는 경추부 신경뿌리 병증은 정확한 감별진단을 통한 치료를 통해 오진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증례는 비록 영상진단에 의한 배제진단을 시행하지 못했으나, 견관절의 여러 이학적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는 환자의 어깨 통증에 대해 경추의 spurling test상 양성 소견과 C5∼C8 피부분절의 감각저하 소견을 종합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으로 진단하였고, 해당 진단에 따라 치료하여 좋은 효과를 내었다. 둘째, 본 증례는 급성기 경추 기원성 통증환자에 대한 침도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침도 치료의 경우 임상에서 만성통증에 대한 보고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는 급성으로 발현된 경추부 신경뿌리 병증에 대해 해당 신경근을 압박하는 경결점(taut node)에 대한 최소침습적인 침도시술을 통해 절개, 박리하여 기계적 압력을 낮춰 통증을 개선시켰다. 즉 본 증례는 급성적으로 발생한 통증이라 하더라도 신경근에 가해지는 기계적 압력부하를 침도 시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6. 부작용 및 안전성

침도 치료의 부작용으로는 현훈, 혈압 강하, 안색 창백 등이 있으며, 자극량이 강해 국소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침몸살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시술 과정에서 출혈 및 내장 손상, 신경손상, 척수외상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5,26). 물론 부작용의 발생 빈도는 적지만 충분히 침도 시술 시 고려해야 할 만한 부작용들이다. 침도 시술의 효과뿐 아니라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도 임상한의사가 유의할 점이며, 이를 위해 해부학적 지식 및 초음파 가이딩 등을 통해 안전한 침도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침도 치료 과정에서 별다른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 론

본 증례는 어깨통증 양상으로 나타난 급성 경추부 신경뿌리병증을 감별진단을 통해 진단하고, 침도치료를 시술하였다. 총 2회의 치료를 통해 주소증인 어깨통증의 NRS를 7에서 0으로 개선시켰으며, 해당 효과는 치료 4주 후 추적관찰시에도 유지가 되었다. 영상의학적 진단에 의한 확진이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나, 경추 추간판 문제로 인한 급성 통증 질환에 있어서 침도 치료가 통증 개선을 위한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다.

Acknowledgement

None.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No NRF-2022R1C1C2008738). This research was also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Technology Project through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grant no. HF23C0010).

Funding agencies had no influence on the study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cision to publish, or manuscript preparation.

Data availability

The authors can provide upon reasonable request.

Conflicts of interest

저자들은 아무런 이해 상충이 없음을 밝힌다.

References
  1. Park JM, Yu SH, Chae JW. A case report of cervical radiculopathy. J Pediatr Korean Med. 2012 ; 26(4) : 71-6. https://doi.org/10.7778/jpkm.2012.26.4.071
    CrossRef
  2. Roh HJ, Lee SH, Kim BJ.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ervical and thoracic radiculopathies: non-invasive interventional therapy. Ann Clin Neurophysiol. 2008 ; 10(2) : 83-97.
  3. Seo YW, Park CY.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pplying medical use analysis of intervertebral disc disorder patients - focusing on cervical spinal disease. J Health Care Life Sci. 2021 ; 9(1) : 103-15. https://doi.org/10.22961/JHCLS.2021.9.1.103
    CrossRef
  4. Peng B, DePalma MJ. Cervical disc degeneration and neck pain. J Pain Res. 2018 ; 11 : 2853-7. https://doi.org/10.2147/JPR.S180018
    Pubmed KoreaMed CrossRef
  5. Kim YT, Lee CS, Yoo JH, Kim TS, Kim JW.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 surgery for cervical myelopathy. Journal of the Korean Orthopedic Association. 2004 ; 39(7) : 759-65.
    CrossRef
  6. Choi BW, Jin SK. Current concept on the surgical treatment by anterior approach in degenerative cervical radiculopathy. J Korean Soc Spine Surg. https://doi.org/10.4184/jkss.2011.18.1.34
    CrossRef
  7. Mizutamari M, Sei A, Tokiyoshi A, Fujimoto T, Taniwaki T, Togami W, et al. Corresponding scapular pain with the nerve root involved in cervical radiculopathy. J Orthop Surg Hong Kong. 2010 ; 18(3) : 356-60. https://doi.org/10.1177/230949901001800320
    Pubmed CrossRef
  8. Hee CK. Shoulder pain. Korean J Fam Med. 2003 ; 24(5) : 416-26.
  9. Chun JM. Evaluatio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painful shoulder. Clin Shoulder Elb. 2003 ; 6(1) : 15-21. https://doi.org/10.5397/cise.2003.6.1.015
    CrossRef
  10. Byun DY, Lee GE, Roh JA, Kim HJ, Huh SW, Han SH. A review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JKMR. 2019 ; 29(2) : 149-58. https://doi.org/10.18325/jkmr.2019.29.2.149
    CrossRef
  11. Pu J, Cao W, Chen Y, Fan Y, Cao Y. Ultrasound-guided injection acupotomy as a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 therapy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a randomized control trial. Ann Med. 55(1) : 2233556. https://doi.org/10.1080/07853890.2023.2233556
    Pubmed KoreaMed CrossRef
  12. Dai W, Wang X, Xie R, Zhuang M, Chang X, Jin Z, et al. Acupotomy combined with massage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Medicine (Baltimore). 2020 ; 99(32) : e21587. https://doi.org/10.1097/MD.0000000000021587
    Pubmed KoreaMed CrossRef
  13. Chen B, Zhang C, Zhang RP, Lin AY, Xiu ZB, Liu J, et al. Acupotomy versus acupuncture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protocol of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Open. 2019 ; 9(8). https://doi.org/10.1136/bmjopen-2019-029052
    Pubmed KoreaMed CrossRef
  14. Vickers AJ, Vertosick EA, Lewith G, MacPherson H, Foster NE, Sherman KJ, et al. Acupuncture for chronic pain: update of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J Pain. 2018 ; 19(5) : 455-74. https://doi.org/10.1016/j.jpain.2017.11.005
    Pubmed KoreaMed CrossRef
  15. Mu J, Furlan AD, Lam WY, Hsu MY, Ning Z, Lao L. Acupuncture for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20 ; 12(12) : CD013814.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3814
    Pubmed KoreaMed CrossRef
  16. Hinman RS, McCrory P, Pirotta M, Relf I, Forbes A, Crossley KM, et al. Acupuncture for chronic knee pai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4 ; 312(13) : 1313-22. https://doi.org/10.1001/jama.2014.12660
    Pubmed CrossRef
  17. Guo Y, Xu Y, He M, Chen X, Xing L, Hu T, et al. Acupotomy improves synovial hypoxia, synovitis and angiogenesis in KOA rabbits. J Pain Res. 2023 ; 16 : 749-60. https://doi.org/10.2147/JPR.S396955
    Pubmed KoreaMed CrossRef
  18. Ding Y, Shi X, Wang L, Daniela L, Gerhard L, Yuan X, et al. Acupotomy versus sodium hyaluronate for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in rabbits. J Tradit Chin Med. 2017 ; 37(3) : 404-11.
    Pubmed CrossRef
  19. Liu F, Zhou F, Zhao M, Fang T, Chen M, Yan X. Acupotomy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CAM. 2017 ; 2017 : 6197308. http://doi.org/10.1155/2017/6197308
    Pubmed KoreaMed CrossRef
  20. You J, Yang F, Liu N, Tang N, Fang T, Liu F, et al. Acupotomy therapy for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CAM. 2019 ; 2019 : 2010816. https://doi.org/10.1155/2019/2010816
    Pubmed KoreaMed CrossRef
  21. Chae HC, Chu HM, Lee JH, Kim HD, Kim DH, Park SB, e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treatment on shoulder pain: 25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J Pain Res. 2023 ; 16 : 1367-80. https://doi.org/10.2147/JPR.S398711
    Pubmed KoreaMed CrossRef
  22. Sun TC, Kim HI, Jung SH. A case report of acupotomy treatment on the acute myelitis patient. J Acupotomy. 2023 ; 7(2) : 187-94.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87
    CrossRef
  23. Kim YH, Oh MS. Effects of acupotomy on pain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cute low back pain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JKMR. 2018 ; 28(2) : 91-104. https://doi.org/10.18325/jkmr.2018.28.2.91
    CrossRef
  24. Lee JH, Kim JS, Kim HI, Choi SW. Protocol for ultrasound-guided acupotomy procedure. J Acupotomy. 2023 ; 7(2) : 154-9. https://doi.org/10.54461/JAcupotomy.2023.7.2.154
    CrossRef
  25. Kim 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or responders to acupotomy and safety pretreatment management. J Acupunct Res. 2008 ; 25(4) : 119-27.
  26. Yoon SH, Kwon CY, Jo HG, Sul JU, Lee H, Won J, et al. Safety of acupotomy in a real world setting: A prospective pilot and feasibility study. J Integr Med. 2022 ; 20(6) : 514-23. https://doi.org/10.1016/j.joim.2022.08.003
    Pubmed CrossRef


September 2024, 41 (3)
Full Text(PDF) Fre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Funding Information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