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Remissions of Crohn’s Disease at Onset and Relapse Using Herbal Medicine: A Case Report
발병과 재발에 한약으로 관해가 유도된 크론병 증례 보고
Korean J Acupunct 2020;37:183-190
Published online September 27, 2020;  https://doi.org/10.14406/acu.2020.019
© 2020 Society for Meridian and Acupoint.

Byung-Hee Lee1 , Jiyoon Won2 ,3, Jae Rang Park3 ,4, Hyangsook Lee2 ,3
이병희1ㆍ원지윤2,3ㆍ박재량3,4ㆍ이향숙2,3

1Hanstep Korean Medicine Clinic,
2Department of Korean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3Acupuncture and Meridian Science Research Center, Kyung Hee University,
4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guk University
1한걸음한의원, 2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3경희대학교 침구경락융합연구센터, 4동국대학교 한의학과
Correspondence to: Hyangsook Le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 Hee 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
Tel: +82-2-961-0703, Fax: +82-2-963-2175, E-mail: erc633@khu.ac.kr
Received August 18, 2020; Revised September 10, 2020; Accepted September 11,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is case report details two remissions at onset and relapse after 4 years each with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a 33-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as Crohn’s disease (CD) by clinical and colonoscopic examination. He presented bloody diarrhea and severe abdominal pain, and his symptoms were persistent even with usual Western medications, so he was offered surgery and biologics. He was then given Sayeok-Tang for 8 months and remission was induced. Four years later he had a relapse and this time he was given Banha-Sasim-Tang, and Baekduong-Ga-Gamcho-Agyo-Tang, based on pattern changes with intense symptom monitoring. Clinical and endoscopic remission was confirmed after 4 month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and no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This case report shows that individualized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has the potential for induction of remission of CD and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Keywords: Crohn’s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herbal medicine, remission
서 론

크론병(Crohn’s disease, CD)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의 하나이다. 최근에 국내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병률이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1). 크론병의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 총 수에서 차지하던 비율이 1980년 0.2%이던 것이 1995년 1.7%로 증가하였고2), 10만 명당 발병 수는 2009년 1.6명에서 2016년 29.6명으로 증가하였고 발병률은 2.4에서 2.9로 1.2배 증가하였다3).

크론병은 소화기관의 전 층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며 염증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서 복통, 설사, 혈변,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서양의학적인 치료로는 5-aminosalicylic acid (5-ASA)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한다4). 경구약물로 관해가 유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5) 면역억제제와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병용해서 치료효과를 더 높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병용요법은 독성, 감염, 림프 악성 종양 등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음이 분명해져서 제한된 기간 동안에만 사용되도록 권고되고 있다6). 이러한 여러 가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양의학적인 완전한 치료법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한의학 치료로 크론병 환자를 치료한 시도가 있었으나 치료 전후의 내시경이나 검사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완전한 관해에 이르렀는지 확인할 수 없는 보고가 대다수이며 치료 이후에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없는 경우가 많고, 재발이 잦은 크론병 환자의 발병부터 재발까지 치료 관리한 보고는 없었다7-11). 이에 2014년 크론병으로 진단받고 복통이 극심한 상태에서 약물치료로 효과가 없어 수술을 권유받은 상황에서 한약을 투여하여 관해를 유도하고 3년간 관해기를 유지하였으며, 2018년 12월 재발하여 생물학적 주사제제 치료를 권유받은 환자를 한약으로 치료하여 관해를 다시 유도한 후 1년여 동안 양약의 도움 없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환자가 있어서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본 증례는 임상자료, 검사기록의 활용, 논문 출간 등에 대한 환자의 서면 동의를 얻어서 작성되었다.

1. 2014년 1월 첫 발병 시

1) 환자: 오○○/남자 33세

2) 발병일: 2014년 1월

3) 치료 기간: 2014년 7월 5일부터 2015년 3월 15일

4) 진단명: 크론병(2014년 6월 서울 성모병원에서 내시경을 포함한 검사, 진료 후 크론병으로 확진)

5) 주소증: 하루 3∼4회 가량의 설사, 혈변, 점액변, 하루 4∼6회의 극심한 복통.

6) 과거력: 2014년 1월 역류성 식도염으로 양약 복용하였으며 이후 복통 발생하였으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고 진단받았었음.

7) 사회력: 흡연력 없음. 음주 거의 안함.

8) 가족력: 없음.

9) 현병력 및 약물 복용

(1) 상기 환자는 키 170 cm 몸무게 61.5 kg인 남성으로 평소 몸무게는 70 kg 가량으로 2014년 6월 크론병으로 진단받기 전후 수개월간 9 kg 가량 체중이 감소함.

(2) 2014년 1월 역류성 식도염이 있어서 양약을 복용하였는데 이즈음부터 간헐적으로 복통이 발생하였으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고 진단받음.

(3) 복통이 계속 심해져서 극심한 상태가 되자 2014년 6월 강남성모병원에서 CT, 내시경, 혈액검사, 조직검사 등의 진료를 받았으며 크론병으로 진단받음.

(4) 이후 부신호르몬제인 소론도정(Solondo tablet, prednisolone 5 mg) 6알/일, 면역억제제인 아자프린정(Azafrine tablet, azathioprine 50 mg) 1알/일, 항생제인 싸이신정(Cycin tablet, cipro-floxacin hydrochloride 500 mg) 2알/일, 크론병을 위한 펜타사서방정(Pentasa slow release tablet, mesalazine 1 g) 3알/일을 처방받아 1개월 이상 복용 중이었음.

10) 내원 시 검사결과

(1) 대장내시경 소견: 돌창자 말단(terminal ileum)에서 오름잘록창자(ascending colon)까지 돌막창자판막(ileocecal valve, ICV)을 침범하는 부종성 점막(edematous mucosa)이 관찰됨. 확정적인 협착(Definite stricture)은 아니지만 협착성 모양이 관찰되고, 종적인 궤양(longitudinal ulcer)이 지속적으로 관찰됨. 가로잘록창자(Transverse colon)에서 구불잘록창자(sigmoid colon)까지 다수의 아프타성 궤양(aphthous ulcer)이 관찰됨(Fig. 1, 1st row).

Fig. 1. Colonoscopic findings at on-set and follow-ups after the 1st and the 2nd remissions. First row (on 23 June 2014): (A) Longitudinal ulcer and edematous mucosa were noted; (B) Bleeding and lost vascularity were present (arrows). Second row (on 17 July 2018): (C) No ulcer and edematous mucosa was detected; (D) No bleeding was present. Third row (on 18 September 2019): (E) No ulcer, edematous mucosa, or bleeding was noted in colon; (F) No ulcer and bleeding was detected.

(2) 병리검사 소견: 결핵균 검출은 없으며 궤양, 육아조직과 림프성 소포(lymphoid follicles)를 동반한 만성 활동성 대장염. 림프성 응집물(Lymphoid aggregates)이 있는 국소적인 중등도의 림프성혈장세포 침윤(lymphoplasma cell infiltration).

(3) 혈액검사 소견: WBC, CRP 수치의 상승(Table 1)

Changes of blood test results from onset to second remission

Test item (unit) Test date Normal range

5 Jul 2014 6 May 2015 11 Jan 2019 10 Jul 2019 27 Sep 2019
WBC (103/uL) 15.41 6.88 6.94 7.95 5.59 4.0∼10
RBC (1012/L) 4.92 4.79 4.70 4.97 5.25 4.5∼5.5
Hemoglobin (g/dL) 14.2 15.1 14.2 15.3 15.6 13.0∼18.0
Hematocrit (%) 43.3 43.9 42.5 44.6 47.1 40∼54.0
Hs-CRP (mg/dL) 1.44 0.11 0.84 0.42 0.15 0∼0.47
AST (IU/L) NA 22 25 40 NA 14∼40
ALT (IU/L) NA 25 40 41 NA 9∼45

ALT :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 aspartate aminotransferase, Hs-CRP :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NA : not available, RBC : red blood cell, WBC : white blood cell.



(4)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CDAI)4): 354.73

(5) 복용 약물: 소론도정(Solondo tablet, prednisolone 5 mg) 6알/일, 아자프린정(Azafrine tablet, azathioprine 50 mg) 1알/일, 싸이신정(Cycin tablet, ciprofloxacin hydrochloride 500 mg) 2알/일, 펜타사서방정(Pentasa slow release tablet, mesalazine 1 g) 3알/일

11) 한의학적 진단

(1) 복통: 하루 4∼6회 가량의 극심한-중등도의 복통이 배 전체적으로 있음.

(2) 설사: 하루 3∼4회 가량의 설사, 혈변, 점액변

(3) 복냉: 배가 차갑고 찬 음식을 먹으면 바로 설사함.

(4) 오한, 수족냉: 추위를 많이 타고 손발이 차가움.

(5) 상열: 얼굴 쪽으로 열이 오름.

(6) 구내염: 한 달에 2∼3주가량 지속되는 구내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함.

(7) 장명: 배에서 물소리가 남.

(8) 변증: 심한 복통과 설사, 혈변, 점액변이 있는데 오한과 복냉을 호소하고 찬 음식을 섭취하면 설사를 하는 것에 주목하여 사역탕증으로 판단하고 상열과 구내염은 심한 복냉으로 인해 상열하한으로 열이 오르는 것으로 진단하였다.

12) 한약 치료 및 경과

(1) 처방 내용: 2014년 7월 5일부터 2015년 3월 14일까지 사역탕(감초 6 g, 건강 8 g, 부자 3 g/일)을 전탕하여 아침, 저녁 식후 2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2) 치료 경과

① 2014년

- 7월 15일: 복통 횟수가 2∼3회/일로 줄어들고 강도가 감소, 대변회수는 2회.

- 7월 25일: 복통 1∼2회/일. 대변 1∼2회/일 혈변, 점액변 간헐적으로 나옴.

- 8월 6일: 병원에서 혈액검사결과 WBC 9로 감소함. 소론도 3알로 줄여 줌.

- 9월 11일 : 복통 소실됨. 대변 1회/일. 혈변은 없으며 점액변만 간헐적으로 있음.

- 10월 11일 : 복통 없음. 대변 1∼2회/일. 양약 복용 줄이기 시작함.

② 2015년

- 1월 31일: 체중 68 kg으로 증가함. 복통 없는 채로 유지하고 있으며 대변 1∼2회/일, 혈변 점액변도 없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음.

- 3월 14일 : 체중 72 kg으로 건강 시 몸무게를 회복함. 모든 양약 중단함. 치료 종료함.

(3) 치료 종료 시 혈액검사 소견(Table 1)

(4) 치료 종료 시 CDAI: 34.6

(5) 치료 종료 후 3년 5개월 후 추적 조사 시 내시경 소견(Fig. 1, 2nd row)

2. 2019년 1월 재발

1) 환자: 오○○/남자 37세(상기 환자와 동일인)

2) 재발일: 2019년 1월

3) 치료 기간: 2019년 1월 19일부터 2019년 9월 18일

4) 진단명: 크론병 재발

5) 주소증: 하루 1∼2회 가량의 설사, 혈변, 점액변, 소화불량, 잔변감.

6) 현병력 및 약물 복용

(1) 크론병 발병 후 한약 치료하고 나서 3년 여 관해기를 유지하던 중 2018년 말부터 약간씩 소화불량 증상이 생기면서 불편이 발생함.

(2) 2019년 1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검진을 하던 중 CRP수치가 상승한 것을 확인하고 병원에서는 크론병이 재발한 것으로 보고 소론도 2알/일, 아자프린 2.5알/일, 펜타사1 g 2알/일을 처방함.

(3) 환자는 지난번에 크론병을 한약으로 치료한 경험에 의지하여 한의원으로 다시 내원함.

(4) 병원에서는 크론병 재발이므로 경구용 약물로 염증이 억제되지 않으면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권유한 상태로 내시경은 따로 실시하지 않았음.

7) 내원 시 검사결과: 혈액검사 소견 상 CRP 수치의 상승을 보임(Table 1).

8) 한의학적 진단

(1) 소화불량: 입맛이 없고 식사하면 심하부가 답답함.

(2) 설사: 하루 1∼2회의 설사, 혈변, 점액변

(3) 잔변감: 대변 시 항문 작열감이 있음.

(4) 복통: 간헐적으로 배꼽 주위에 가벼운 통증이 있음.

(5) 변증: 처음 크론병 발병 시와 달리 뚜렷한 복냉 증상이 없고 가벼운 복통과 설사, 혈변, 점액변이 있는데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아 크론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달라진 것으로 진단하였다.

9) 한약 치료 및 경과

(1) 처방내용: 2019년 1월 19일∼5월 26일까지 반하사심탕을 처방

- 1월 19일: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을 동반하는 복통과 설사를 보고 반하사심탕12) (반하 12 g, 황금, 건강, 인삼, 감초 각 6 g, 대조 8 g, 황련 2 g/일)을 처방하여 아침저녁 식후 2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 2월 8일: 대변 회수는 1∼2회/일, 혈변 1∼2회/주로 줄어듦. 식후 복통 있다 없다 함.

- 3월 15일: 대변 1회/일. 혈변은 3월부터 없고 복통은 감소함. 소론도는 2월 말에 중단하였으며 아자프린과 펜타사는 절반으로 줄임.

- 4월 26일: 대변 1회/일. 혈변, 잔변감, 복통 없으며 식욕 양호함. 양약 중단함.

- 5월 25일: 대변 1∼2회/일. 심하부 하복부에 통증이 가끔 있고 이 때 혈변과 점액변이 동반.

(2) 처방내용: 2019년 5월 27일부터 9월 18일까지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을 처방

- 5월 27일: 반하사심탕을 복용하여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소화불량, 심하비의 증상이 없이 다시 혈변과 점액변이 발생하고 대변 후 후중감, 항문 작열감이 있는 것을 보고 이것을 습열리로 판단하여 백두옹가감초아교탕(황련, 황백, 진피(秦皮) 각 6 g, 백두옹, 감초, 아교 각 4 g/일)을 처방하여 아침저녁 식후 2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 6월 12일: CRP 수치가 0.39로 떨어져 생물학적 주사제를 맞는 것을 보류함.

- 7월 6일: 복통 소실되고 대변 1회/일. 혈변과 점액변이 모두 소실됨.

- 8월 17일: 제반 증상 모두 소실되고 관해 상태 유지 중. 대변 1회/일.

(3) 치료 종료 시 혈액검사 소견(Table 1).

(4) 치료 후 대장내시경 소견: 돌창자 말단과 돌막창자판막에 점막 충혈(hyperemic mucosa) 이외 막창자(cecum), 오름, 가로, 내림, 구불잘록창자(ascending, transverse, descending, and sigmoid colon)과 곧창자(rectum), 유-턴 소견(U-turn finding)에 모두 특이소견 없음(Fig. 1, 3rd row).

(5) 추적 관찰: 상기 환자는 재발 후 반하사심탕과 백두옹가감초아교탕으로 치료하여 다시 양약을 끊고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관해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20년 8월 현재 약 1년여의 기간 동안 양약의 사용 없이 특별한 재발이나 불편함 없이 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치료 기간 중 경과는 Fig. 2에 요약하였으며(Fig. 2), 환자의 증상 변화 중 복통의 횟수, 강도, 배변 횟수, 체중, CDAI는 Fig. 3에 요약하였다(Fig. 3).

Fig. 2. Timeline of the case.
Fig. 3. Changes in symptoms. (A) Changes in number of abdominal pain, intensity of abdominal pain and number of defecation are visualized. (B) Changes in CDAI and body weight are visualized. AP : abdominal pain, Df : defecation, CDAI :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BW : body weight. Intensity of AP was measur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3. 치료 과정 중의 환자의 기술(narrative)

환자는 처음 발병 시에 극심한 통증과 설사가 발생하여 병원에 내원하였더니 생소한 크론병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증상이 심한데 양약에 반응하지 않아 장 절제술을 권유받은 상태였다. 장을 잘라야 한다는 말에 환자와 가족 모두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한의학적인 치료를 해 보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처음 치료가 무사히 잘 끝나고 나서 재발했을 때에도 병원에서는 재발한 크론병이므로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으나 정작 환자는 지난번에 ‘한방 치료로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라고 하면서 별로 걱정하지 않았다고 이야기하였다.

고 찰

크론병은 원인불명의 만성 염증성 장질환으로 5-ASA,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로도 관해가 잘 유도되지 않는 난치성 질환이다4). 경구용 약물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infliximab 등의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하지만 이 치료법의 경우에도 완전하게 관해가 유도되지 않거나 림프암 등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기도 한다5).

상기환자는 33세가 되던 2014년 1월에 처음 복통과 혈변, 설사 등이 시작되어 종합병원에서 여러 가지 진단 검사 후 크론병으로 확진되었던 환자이다. 발병 후 1개월 이상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 5-ASA 등을 복용하였으나 극심한 복통이 지속되고 있던 상황이었고, 장 절제 수술 등의 방법이 거론되고 있던 상황이었다. 장 절제 수술은 그 결과가 비가역적인 만큼 섣불리 선택할 수 없는 상황에서 환자가 한의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시 분명한 복냉, 찬 음식을 섭취할 때 심해지는 복통, 설사가 뚜렷했고, 환자가 오한, 수족냉 등의 한증을 분명하게 보였기에 어렵지 않게 사역탕을 선방할 수 있었으며 사역탕 투여 후 환자는 극적으로 호전되었다.

본 증례에서 사용된 처방들은 주로 염증을 완화하고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역탕은 감초, 건강, 부자로 이루어진 처방으로 배가 차면서 설사를 하는 한리에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처방이며 급성 및 만성위장염, 복통과 설사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다13). 크론병의 경우에도 한리가 분명하게 보이면서 복통을 동반하는 경우 건강과 부자로 찬 것을 몰아내어 한리와 복통을 치료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건강은 궤양성 대장염의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14) 유사한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부자는 독성 때문에 사용을 꺼리는 약재이나 전통적으로 한랭으로 인한 복통이나 설사에 사용되었던 약재이다15). 사역탕으로 치료하여 환자는 제반 증상이 소실되었고 혈액검사 및 내시경 상 관해에 도달하여 약 3년 여간 관해를 유지하였다.

2019년 1월 환자는 다시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번에는 복냉과 한리를 전혀 호소하지 않았고 소화불량, 심하비 등의 증상을 호소하면서 식후에 복통을 동반하였다. 이에 상부소화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반하사심탕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되었다. 반하사심탕은 화학요법 부작용으로 생긴 구강 점막염에 소염진통 효과가 있고 식도암 예방16), IBD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처방이다8). 그런데 환자가 반하사심탕을 복용하고 잠시 관해 상태인 것처럼 보이다가 1개월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혈변과 복통 등이 발생하고 염증수치 또한 다시 상승하였다. 이때 진찰 시에 환자의 증이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소화불량이나 식욕부진 등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대변을 볼 때 후중감이 발생하고 항문이 화끈거리는 작열감이 동반하면서 혈변이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혈변이 있으면서 열이 있고 후중감이 있을 때는 상한 처방 중에서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을 사용한다.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은 황련, 황백, 진피(秦皮), 백두옹, 감초, 아교 등으로 구성된 처방이다. 황련17)과 황백, 백두옹18) 등은 장 염증 억제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秦皮에서 추출된 성분인 5-methoxyl aesculetin (MOA)은 종양괴사인사-알파, 인터루킨-6 등의 유도 생산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염증성 질환에서 염증 억제에 대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19). 아교는 당나귀의 가죽을 가공하여 만든 약재로 조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20) 출혈을 동반하는 염증성 장질환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약재이기도 하다. 백두옹가감초아교탕 자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나 원방인 백두옹탕은 인체 대장암에 항종양 및 면역 활성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21).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을 투여한 후 환자의 증상은 급격하게 개선되었으며 이후 다시 재발하지 않았고, 혈액검사 상 제반 수치도 안정되었으며 내시경 상 전체 대장에 특이소견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종합병원에서는 재발한 크론병이므로 CRP 수치가 호전되지 않으면 생물학적 주사제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했으나 한약치료로 증상이 소실되고 관해가 유도되어 주사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 환자의 치료 경과는 여러 가지 생각할 점을 시사해 준다. 첫 번째로 크론병 환자가 보이는 증상에 따라 그 증상에 맞는 처방을 투여하면 관해로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양약을 투여하여 증상의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던 상태에서도 증상에 따른 한약을 투여하여 관해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한 명의 환자가 서양의학에서 같은 병명으로 진단받고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도 시기와 증상의 변화에 따라 한의학적인 진단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환자의 경우 혈변, 설사, 복통 등의 양상은 첫 발병 시와 재발 시에 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비슷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한의학적인 변증에는 차이가 있었고 이에 따라 같은 병도 다르게 치료한다는 동병이치의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로 크론병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다중의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원인을 모두 제거해 주어야 관해가 유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재발 시에 처음에 소화불량을 목표로 반하사심탕을 투여하였던 경우를 보면 소화불량이 해소되면서 증상도 개선되었으나 일시적인 현상이었으며 소화불량이 없는 상태의 혈변이 다시 발생했다. 이에 소화불량이 없는 상태를 고려하여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을 투여하고는 관해가 유도되었다. 이것은 크론병과 같은 난치성 질환에서 한 명의 환자에게 다중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은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 명의 환자에게서 한열이 상반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그럴 경우 각기 다른 처방으로 효과가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사역탕은 건강, 부자로 구성된 처방으로 한증에 사용하는 처방이며 백두옹가감초아교탕은 황련, 황백 등으로 구성되어 열증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한 명의 환자가 시기의 차이를 두고 명백한 한증 처방과 명백한 열증 처방으로 치료하여 모두 효과가 있었다. 한 사람의 같은 질환이라도 증상이 고정불변된 것이 아니며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이 증례는 크론병에 있어서 하나의 치료 사례에 불과하며 여러 한계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관련된 더 많은 연구와 증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증례의 한계 중 주요한 것은 첫 번째 관해 때 한약 종료 직후와 재발 때 한약 치료 시작 전 대장내시경 결과가 누락된 점이다. 한약 치료 시작 시와 종료 후의 대장내시경 소견을 철저하게 갖추어 인과성을 보다 명확하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환자에게 대장내시경을 받아 볼 것을 권하였으나 본인이 원하지 않아 확보되지 못한 점은 본 증례의 한계이자 아쉬운 점으로 향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난치성 질환인 크론병 환자가 한증과, 소화불량, 열증을 보이는 경우에 그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한약으로 치료하는 경우 극심한 복통, 설사, 혈변 등의 증상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례라고 생각되어 환자의 동의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Acknowledgement

None.

Funding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의료기술의 임상근거 강화(KSN2013210)’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Data availability

The authors can provide upon reasonable request.

Conflicts of interest

저자들은 아무런 이해 상충이 없음을 밝힌다.

References
  1. Criteria for diagnosis of Behcet's disease.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ehcet's Disease. Lancet. 1990;335(8697):1078-80.
    CrossRef
  2. Song 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 Korean J Med. 1999;57(4):661-75.
    Pubmed CrossRef
  3. Kwak MS, Cha JM, Lee HH, Choi YS, Seo SI, Ko KJ, et al. Emerging trend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South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J Gastroenterol Hepatol. 2019;34(6):1018-26. https://doi.org/10.1111/jgh.14542.
    Pubmed CrossRef
  4. Wehkamp J, Gotz M, Herrlinger K, Steurer W, Stange EF. Inflam-matory Bowel Disease. Dtsch Arztebl Int. 2016;113(5):72-82. https://doi.org/10.3238/arztebl.2016.0072.
    Pubmed CrossRef
  5. Papamichael K, Lin S, Moore M, Papaioannou G, Sattler L, Cheifetz AS. Infliximab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r Adv Chronic Dis. 2019;10:2040622319838443. https://doi.org/10.1177/2040622319838443.
    Pubmed CrossRef
  6. Bots S, Gecse K, Barclay M, D'Haens G. Combination Immuno-suppression in IBD. Inflamm Bowel Dis. 2018;24(3):539-45. https://doi.org/10.1093/ibd/izx065.
    Pubmed CrossRef
  7. Kim SW, Lee OJ, Shin JC. Case report :A Case Study of a Crohn's Disease Patient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Korean J Acupunct. 2014;31(4):247-52. https://doi.org/10.14406/acu.2014.035.
    CrossRef
  8. Na WG, Yang MR, Lee HJ, Park EJ. A case report of Crohn's dis-ease.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2;16(2):51-8.
  9. Seo SH, Jeong JO, Lee EJ, Choi IS, Park SE, Kim WI, et al. A Case Study of Suspected Crohn's Disease Treated with Bojanggunbi-tang.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3):648-54.
  10. Lee MS, Hwang MW, Kim YH. A Case Study of a Soyangin Patient with Crohn's Disease who Reported Symptomatic Improvement after Being Treated with Dojeokgangki-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2;24(2):61-70. https://doi.org/10.7730/jscm.2012.24.2.061.
    CrossRef
  11. Park JM, Kim HJ, Keum DH, Park YH, Lee MJ. The effect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Crohn's disease; 1 Case Report.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0;5(1):57-66.
  12. Lee BH, Won J, Lee H.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Remission in Ulcerative Colitis: A Case Report. Korean J Acupunct. 2019;36(3):181-7. https://doi.org/10.14406/acu.2019.014.
    CrossRef
  13. Kono T, Satomi M, Chisato N, Ebisawa Y, Suno M, Asama T,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Hangeshashinto (TJ-14) in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World J Oncol. 2010;1(6):232-5. https://doi.org/10.4021/wjon263w.
    Pubmed KoreaMed CrossRef
  14. Nikkhah-Bodaghi M, Maleki I, Agah S, Hekmatdoost A. Zingiber officinale and oxidative stress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Complement Ther Med. 2019;43:1-6. https://doi.org/10.1016/j.ctim.2018.12.021.
    Pubmed CrossRef
  15. Kil TC, Kwon KR. The Bibilographic studies on Aconiti Ciliare Tuber and Radix Aconiti. J Pharmacopuncture. 2001;4(2):87-93. https://doi.org/10.3831/kpi.2001.4.2.087.
    CrossRef
  16. Moriyama S, Hinode D, Yoshioka M, Sogawa Y, Nishino T, Tangoku A, et al. Impact of the use of Kampo medicine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during chemotherapy:a clinical trial for oral hygiene and oral condition. J Med Invest. 2018;65(3.4):184-90. https://doi.org/10.2152/jmi.65.184.
    Pubmed CrossRef
  17. Lee IA, Hyun YJ, Kim DH. Berberine ameliorates TNBS-induced colitis by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enterobacterial growth and NF-kappaB activation. Eur J Pharmacol. 2010;648(1-3):162-70. https://doi.org/10.1016/j.ejphar.2010.08.046.
    Pubmed CrossRef
  18. Chen Z, Guan Y, Zhou L, Xu Y, Yang M, Liu H.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on-targeted particles of Pulsatilla chinensis saponins. Nat Prod Commun. 2015;10(2):237-8. https://doi.org/10.1177/1934578x1501000204.
    Pubmed CrossRef
  19. Wu L, Li X, Wu H, Long W, Jiang X, Shen T, et al. 5-Methoxyl Aesculetin Abrog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MAPK and AP-1 Pathways in RAW 264.7 Cells. Int J Mol Sci. 2016;17(3):315. https://doi.org/10.3390/ijms17030315.
    Pubmed KoreaMed CrossRef
  20. Wu H, Yang F, Cui S, Qin Y, Liu J, Zhang Y. Hematopoietic effect of fractions from the enzyme-digested colla corii asini on mice with 5-fluorouracil induced anemia. Am J Chin Med. 2007;35(5):853-66. https://doi.org/10.1142/s0192415x07005326.
    Pubmed CrossRef
  21. Hitomi S, Ujihara I, Ono K. Pain mechanism of oral ulcerative mucositis and the therapeutic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ngeshashinto. J Oral Biosci. 2019;61(1):12-5. https://doi.org/10.1016/j.job.2019.01.004.
    Pubmed CrossRef


September 2024, 41 (3)
Full Text(PDF) Free


Cited By Articles

Funding Information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