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저에서는 서론, 재료(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참고문헌의 순서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 항목을 통합 또는 생략할 수 있다.
문헌연구, 증례보고, 종설 등은 다른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이에 대한 간략한 배경이 언급되어야 한다. 재료 및 방법은 실험동물 등 대상, 방법, 실험기구(제작사 및 기종 명시), 절차 등을 포함하되, 다른 연구자가 같은 방법으로 시행할 경우 재현할 수 있도록 충분하고도 자세하게 설명하여야 하고 결과의 통계적 검정 방법도 기재하여야 한다. 결과는 도표의 순서와 같은 순으로 기재하되 본문의 표나 도해의 데이터를 반복하여 적어서는 안 되며, 중요한 관찰 결과만을 강조하고 요약한다. 고찰은 연구의 새롭고 중요한 측면과 그로부터 나온 결론을 중심으로 작성하되, 결과와 무관한 문헌고찰은 피한다.
1) 용어 : 학술용어는 될 수 있는 대로 국문으로 써야 하고 번역이 곤란한 경우에만 영문 또는 한문으로 쓸 수 있다.
2) 약자 : 약어는 표준약어만 사용한다. 논문제목과 초록에는 약어 사용을 피한다. 본문에 약어를 처음 사용할 때에는 정식 명칭을 먼저 쓰고 괄호 등을 이용하여 약어를 표기하며 이후에는 약어만으로 표기한다.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약자는 가급적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표준 측정단위의 약어는 예외이다.
3) 고유명사, 숫자 및 측정치의 표기 : 인명, 지명, 그 밖의 고유명사는 원어를,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도량형은 미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온도는 섭씨로, 혈압은 mmHg로 기록한다. 혈액학적 또는 임상 생화학적 측정치는 국제 단위 체계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방식의 미터법을 사용한다. 측정수치와 단위 표시는 한글의 경우 붙여 쓰고, 영문의 경우 띄어 쓴다.
4) 약품명 : 상품명보다는 일반명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상품명의 표기가 결과의 평가나 추적연구에 중요할 경우에 한해서 표기가 가능하다.
a. 경혈명의 영문표기는 국제표준 부호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명칭을 병용하여 쓸 경우 국문 경혈명을 우선으로 표기하고, 국제표준 부호를 병기한다.
예) LI4, 합곡(LI4)
b. 한약처방명의 영문표기는 한국어 발음을 우선으로 표기하며 중국어 발음을 병기하고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한다. 그리고 탕(湯), 산(散), 환(丸) 같이 제형을 뜻하는 단어는 하이픈(-)을 사용한 뒤 소문자로 표시한다.
예) Chungpyesagan-tang(Qingfeixiegan-tang)
5) 항목구분
본문의 항목구분은 다음의 두 가지로 한다.
- a. 국문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로 구분
예) 1, 2, 3, 1), 2), 3), ①, ②, ③
- b. 영문의 경우는 로마자로 구분
예) I, II, III, 1, 2, 3, a, b, c